Network

IP란? (Internet Protocol) IPv4, IPv6

방뭉밍봉 2022. 6. 29. 12:31

 

IP란 뭘까? 내가 IT 계열 공부를 하기 전까지 IP를 사용했던 곳은 초등학교 때 친구들이랑 마인크래프트 멀티 했을 때 밖에 기억이 안 난다

 

@IP란? (internet protocol)

 

 

IP는 한마디로 내가 쓰고 있는 인터넷의 주소이다 각자 집 주소로 택배를 시키면 택배가 오듯이 IP는 내 컴퓨터의 정확히는 내가 쓰고 있는 internet의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IP는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우리가 흔히 알고 많이 사용하는 IPv4 (ip version4)

192.xxx.xxx.xxx 방식의 32비트 주소이다 2의 32승 계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는데 이는 4294967296 개 약 42억 개의 IP를 할당할 수 있다.

 

 

이 ipv4는 공식적으로 IANA라고 하는 기관에서 2010년쯤에 전 세계적으로 고갈 났다 발표했다.

 

https://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Domain Names Management of the DNS Root Zone (assignments of ccTLDs and gTLDs) along with other functions such as the .int and .arpa zones. Root Zone Management Database of Top Level Domains .int Registry .arpa Registry IDN Practices Repository Number Resources Coordination of the global IP and AS n...

www.iana.org

@IANA란?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의 약어.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 기관. IANA는 인터넷 소사이어티(ISOC)의 산하기관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IP)의 전 세계적 주소에 대하여 최종적인 조정과 관리를 하는 기관.

 

한마디로 전 세계의 IP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두 번째는 IPv6(ip version6)

fe80::44f1:3bcd:4540:6e68%5

이렇게 도저히 알아먹을 수 없게 생긴 128 비트 주소이다 2의 128승 개 340282366920938463463374607431768211456 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솔직히 길어서 몇 개 인지 세어보지도 않았다 이 IPv6는 시간이 지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ip 할당량이 늘어나서 만든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IP 할당할 수 있는 개수가 너무너무 많아서 실제로 미국에선 어린이용 장난감 하나 만들 때도 IP를 할당해준다고 한다.

 

 

@IPV4

 

ipv4는 5개의 클래스가 존재한다

 

사실 이 밑에 있는 걸 읽어보라고 하고 싶은데 솔직히 일반인이 읽으면 뭔 소린지 이해하기도 어렵다 그래서 쉽게 알려주면

 

A 클래스는 0~127.xxx.xxx.xxx 주소 방식의 맨 앞 3 자리가 0~127 인 주소

 

B 클래스는 128~191.xxx.xxx.xxx인 주소

 

C 클래스는 192~223.xxx.xxx.xxx인 주소

(우리가 제일 많이 쓰는 주소)

 

D 클래스는 멀티캐스트라고 하는 곳에 사용하는 주소이고 (나중에 알아보자)

 

E 클래스는 평생 쓸 일 없으니 알아보지 말자 그냥 IANA란 곳에서 나중에 쓸라고 아껴 둔 IP인데 내 생각으론 평생 안 쓸 거 같다.

 

--------------------------------------------------------------------

2^7 2^6 2^5 2^4 2^3 2^2 2^1 2^0

128 64 32 16 8 4 2 1

--------------------------------------------------------------------

 

IP 주소 클래스 0.0.0.0 ~ 255.255.255.255

 

- A, B, C, D, E 클래스

 

A Class(0~127) : 맨 앞에 비트가 '0'인 공통 비트 클래스

()

 

0.0.0.0 ~ 127.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0.0.0

0 0000000. 0 1111111. 네트워크 아이디랑 IP 주소 개수 : 2^24개

(16,777,216개)

 

 

B Class(128~191) : 맨 앞에 비트가 '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128.0.0.0 ~ 191.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255.0.0

10 000000. 10 111111. 네트워크 아이디랑 IP 주소 개수 : 2^16개

(65,536개)

 

 

C Class(192~223) : 맨 앞에 비트가 '1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192.0.0.0 ~ 223.255.255.255 기본 서브넷 마스크 : 255.255.255.0

110 00000. 110 11111. 네트워크 아이디랑 IP 주소 개수 : 2^8개

(256개)

 

 

D Class(224~239) : 맨 앞에 비트가 '1110'인 공통 비트 클래스

 

224.0.0.0 ~ 239.255.255.255 서브넷 마스크 개념 X

1110 0000 1110 1111.

 

 

E Class(240~255)

 

240.0.0.0 ~ 255.255.255.255

 

 

@서브넷 마스크란? (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는 ip의 클래스를 구분하기 위해 ipv4 주소의 항상 붙어 다니는 친구이다

다들 IP의 관해 조금만 검색해봐도 항상 255.255.255.0 이런 녀석이 내 ip 주소의 붙어 다니는 걸 알 것이다 이 친구는 ip의 대역 A, B, C 클래스를 나누기 위해 따라다니는 친구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예를 들면 우리가 집으로 택배를 시켰을 때 xx 번지라고만 알려주고 층수를 알려주지 않으면 찾아오지 못하는 것처럼 ip 주소도 서브넷 마스크가 없으면 어디 대 역대인지 몰라서 길을 못 찾아온다

 

 

서브넷 마스크는 간단 명료하게 앞에 255가 차 있는 거로 A, B, C 클래스로 구분할 수 있으며 255가 존재하는 라인은 네트워크 ID, 0이 존재하는 부분은 IP를 할당받을 수 있는 host라고 생각하면 아주아주 쉽다

 

A 클래스

1~127. 255. 255. 255

255. 0. 0. 0

서브넷 마스크 255.0.0.0

 

B 클래스

128~191. 255. 255. 255

255. 255. 0. 0

서브넷 마스크 255.255.0.0

 

C 클래스

192~223. 255. 255. 255

255. 255. 255. 0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이 서브넷 마스크는 IPv4를 적을 때 항상 같이 적어주어야 한다.

 

 

 

 

이것은 우리 집의 IP 주소 정보이다 맨 앞 주소가 192~223의 C 클래스이고 서브넷 마스크는255.255.255.0인 걸 확인할 수 있다.

 

 

이 말고도 서브넷 마스크를 간단하게 적을 수 있는 프리픽스라고 (prefix) 하는 것이 있다.

192.xxx.xxx.xxx/24 <-- 다들 한 번쯤은 이렇게 생긴 주소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것이 넷 마스크를 간단하게 표현한 프리픽스이다.

프리픽스는 32비트를 쪼개서 255가 존재하는 구간(네트워크ID)의 8비트씩 주어서

 

A 클래스는 /8

B 클래스는/16

C클래스는/24 이다

 

@IP 범위와 구분

 

0.0.0.0 ~ 0.255.255.255
(0.0.0.0/8)
기본 게이트웨이 IP, 흔히 Default Route 라고 함
10.0.0.0 ~ 10.255.255.255
(10.0.0.0/8)
A클래스 사설IP주소
100.64.0.0 ~ 100.127.255.255
(100.64.0.0/10)
Carrier~grade NAT라고 불리는 새로운 사설IP대역
127.0.0.0 ~ 127.255.255.255
(127.0.0.0/8)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루프백(Loopback) IP
169.254.0.0 ~ 169.254.255.255
(169.254.0.0/16)
IP를 자동지정해주는 DHCP 서버용으로 예약된 IP주소로 APIPA 라고 함
172.16.0.0 ~ 172.31.255.255
(172.16.0.0/12)
B클래스 사설IP주소
192.0.0.0 ~ 192.0.0.255
(192.0.0.0/24)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5736
192.0.2.0 ~ 192.0.2.255
(192.0.2.0/24)
TEST-NET-1
192.88.99.0 ~ 192.88.99.255
(192.88.99.0/24)
IPv6를 IPv4로 연결할 때 사용하기 위해 예약된 IP주소
192.168.0.0 ~ 192.168.255.255
(192.168.0.0/16)
C클래스 사설IP주소
198.18.0.0 ~ 198.19.255.255
(192.18.0.0/15)
네트워크 장치의 성능을 확인할 때 쓰기 위해 예약된 IP주소
198.51.100.0 198.51.100.255
(198.51.100.0/24)
TEST-NET-2
203.0.113.0 ~ 203.0.113.255
(203.0.113.0/24)
TEST-NET-3
224.0.0.0 ~ 239.255.255.255
(224.0.0.4/24)
멀티캐스트 용도로 쓰기 위해 예약된 IP주소
240.0.0.0 ~ 255.255.255.254 먼 미래를 위해 예약된 IP주소였는데 2011년2월4일부로 사용중
255.255.255.255
브로드캐스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예약된IP주소

 

이 밖에도 멀티캐스트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등 다양한 게 많지만 오늘은 여기까지만 알아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