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란?
운영체제는 모든 하드웨어와 모든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컴퓨터시스템의 한 부분인 “실행 관리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누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관리하므로, 즉 운영체제는 컴퓨터시스템을 관리하는 보스(boss)라고 할 수 있다.
운영체제는 일련의 작업 순서를 정하고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주변장치 등의 여러 하드웨어 시스템에 이를 할당하는 일련의 매우 복잡한 명령으로서, 프로그램 실행은 물론 파일 접근, 응용 프로그램 구동, 모니터 및 메모리 저장장치 제어, 글자판 명령 해석과 같은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도록 CPU에 지시한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이른바 시분할(time-sharing) 방식으로 작업의 우선순위를 정해 시간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며, 네트워크상에서는 다른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일을 제어하기도 한다.
요약하자면, 운영체제는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며, 컴퓨터 사용을 편리하게 해주고 응용 프로그램들의 수행을 도와주며,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라고 말할 수 있다.
운영체제의 종류에는 일괄처리 (batch processing) 운영체제, 대화형 운영체제, 실시간 운영체제, 하이브리드 운영체제가 있는데, 일괄처리 운영체제는 작업을 모아서 처리, 사용자와 상호작용 없이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대화형 운영체제는 시분할시스템이라고도 하며 일괄처리 시보다 반환시간이 빠르고 이용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feedback)을 제공(상호작용)한다. 응답시간은 사용자 수에 따라 수 분, 혹은 수십 초가 걸리기도 한다.
실시간 운영체제는 모든 시스템 중 가장 빠른 응답시간을 보이며, 결과값이 현재의 결정에 영향을 받으며, 데이터의 처리가 매우 빠르고 반환시간이 매우 중요한 환경에 적합하다. 하이브리드 운영체제는 일괄처리와 대화형 처리의 합성한 운영체계로 대화형 작업이 많지 않을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배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컴퓨터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리눅스란?
1991년 11월에 리누스 토발즈 (linus Toravalds) 가 버전 0.02를 공개한 유닉스 기반 개인 컴퓨터 용 공개 운영체제이다 1989년 핀란드 헬싱키대학에 재학 중이던 리누스 토르 발스(Linus Torvalds)가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한 공개용 오퍼레이팅시스템(OS)으로, 1991년 11월 버전 0.02이 일반에 공개되면서 확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유닉스(Unix)가 중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리눅스는 워크스테이션이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로 활용한다.
리눅스는 소스 코드를 완전 무료로 공개하여 전세계적으로 약 5백만 명이 넘는 프로그램 개발자 그룹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들에 의해 단일 운영체제의 독점이 아닌 다수를 위한 공개라는 원칙하에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고 있다.
파일구성이나 시스템기능의 일부는 유닉스를 기반으로 하면서, 핵심 커널 부분은 유닉스와 다르게 작성되어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를 강력하게 지원하는 등 네트워킹에 특히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유닉스와 거의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무료라는 장점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자 및 학교 등을 중심으로 급속히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리눅스는 각종 주변기기에 따라 혹은 사용하는 시스템의 특성에 맞게 소스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변종이 출현하고 있다.
GNU 프로젝트
GNU's Not Unix의 약자. 유닉스(Unix)의 상업적 확산에 반발하여 리처드 스톨먼과 그의 팀이 무료로 개발·배포하고 있는 유닉스 호환 운영 체제이며 동시에 그러한 정보 공유 프로젝트 그 자체. 1983년에 시작되었다. 1985년에는 GNU헌장을 통해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이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사용, 복사, 수정, 재분배에 대한 제한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자신의 신념을 전세계에 알린 바 있다. GNU 프로젝트는 저작권(copyright)에 반대하여 카피레프트(copyleft)를 주장하며, 그 일환으로 자본의 이윤 증식 과정을 거치지 않은 무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널리 배포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널리 퍼진 리눅스와 그 위에서 작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바로 GNU 프로젝트에 의한 것이다.
GPL 라이센스
[ General Public License ]
공개운영체계인 GNU 프로젝트로부터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라이센스. 사용자들이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내용을 수정하도록 보증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GPL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의 배포판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고, 원한다면 그 배포판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GPL의 가장 큰 특징은 GPL이 적용된 SW를 이용해 개량된 SW를 개발했을 경우, 개발한 SW의 소스코드 역시 공개해야 한다. 가장 널리(전체 공개SW의 70~80%) 적용되는 공개SW 라이선스로, 공개SW 세계의 헌법이라는 별칭까지 붙어있다. 자유SW재단의 리차드 스톨만이 만들었다.
리눅스는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무료 오픈형 운영체제이고
누구나 자유롭게 소스코드를 변경하고 사용하고 배포할 수 있는 freeware(프리웨어)입니다
프리웨어와 비슷한 단어로 며칠만 무료로 사용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유료로 사용해야 하는 shareware(셰어웨어) 등이 있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배포판들이 존재하고 그 배포판들은 약간씩 다른 명령어들이 있지만 전체적인 명령어는 똑같습니다 리눅스는 윈도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이 덜 들기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 리눅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눅스는 수없이 많은 배포판들이 존재합니다

리눅스의 배포판은 크게
슬렉웨어 계열
데비안 계열
레드햇 계열
이 존재합니다
슬랙웨어는 패트릭 볼커딩이 개발한 현존하는 리눅스 중 SLS 다음으로 가장 오래된 배포판이며
가장 유닉스 다운 리눅스 배포판 이라는 명칭이 있습니다
슬렉웨어에 속하는 배포판은..
SuSe, vector linux, salix OS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배포판은 suse 리눅스가 있습니다.

데비안은 일반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리눅스입니다
데비안은 가장 영향력 있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로 51,000여 꾸러미를 갖춘 저장소를 관리한다
데비안 계열에 속하는 배포판은..
backtrack, kali linux ,ubuntu 등 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ubuntu는 리눅스 배포판 중에 가장 사랑받고 많이 쓰이는 배포판입니다, 백트랙은 2012년 서비스를 종료하고 현재의 칼리 리눅스로 이어가고 있습니다.
레드햇은 기업용이나 서버 관리 등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이 리눅스 마스터가 목적이거나 리눅스로 취업을 생각하고 계시면 눈여겨보셔야 하는 리눅스입니다.
레드햇 계열의 속하는 배포판은..
centos, fedora, RHEL, asianux, oracle linux 등 유명한 리눅스들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게 centos입니다 제가 앞으로 포스팅할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이기도 하고요 서버용으로 최적화된 리눅스이기도 합니다
RHEL이라는 서버용 리눅스 배포판이 유료로 바뀌면서 gnu 정신이 없다면서 RHEL 뺨을 후려친 게 centos 리눅스입니다
RHEL centos 등은 거의 서버용으로 최적화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다음엔 리눅스 기본 명령어 커널과 쉘 및 운영체제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명령어 (touch, cat, head, tail, more, less, file, stat, cp, mv, rm, tty) 쉽게 배우기 (0) | 2022.06.29 |
---|---|
리눅스 기본 명령어 쉽게 이해하기 (pwd, ls, cd, mkdir, rmdir) 리눅스 기초 (0) | 2022.06.20 |
리눅스 커널, 쉘, 프롬프트 (Kernel, Shell, Prompt) (0) | 2022.06.20 |
리눅스 Putty 연결 및 네트워크 설정 (0) | 2022.06.20 |
vmware 가상머신 설치 및 (centos) 리눅스 설치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