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

리눅스 프로세스, 백그라운드, 포어그라운드(ps, kill, bg, fg, jobs, top, sleep,&) 프로세스(process) 란 어렵게 말할 필요 없이 아주 간단하게 현재 컴퓨터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컫는 말이다. ​ ​ ctrl+alt+delte -> 작업 관리자 그러면 내가 현재 사용 중인 프로그램을 보여준다 ​ 리눅스로 들어가기 전에 기본적은 단어 몇 가지만 알아보고 가자 ​ 1.PID pid 란 process id 프로세스의 고유 식별 번호 같은 것이다 ​ 2.ni ni란 nice의 줄임말인데 리눅스에서는 이를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단어로 정의되어 있다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정하면 말 그대로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하게 된다. ​ 3. 백그라운드, 포어그라운드 백그라운드는 많이들 들어봤을 텐데 알아듣기 쉽게 윈도우로 예를 들어보겠다 우리가 인터넷을 켜서 네이버 창을 화면.. 2023. 11. 3.
리눅스 패키지 관리,설치,(rpm, yum, wget) yum 저장소 추가(REMI,IUS,EPEL) 리눅스 패키지 다운로드 관리 명령어는 rpm, yum, wget 등의 3가지 방식이 있다. ​ ​ ​ wget World wide web get ​ 윈도우에서 웹사이트 검색을 통해 직접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하는 형태와 비슷 ​ #> wget [주소] ​ wget으로 python 을 다운로드한다고 가정해보자 wget 은 인터넷상에 올라와 있는 주소를 통하여 해당 주소의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해 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python.org 파이썬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저렇게. xz라고 써져있는 리눅스에서 압축을 풀 수 있는 xz 형식의 압축파일이 있다 저 링크를 그대로 복사하여 터미널에 그대로 ​ #> wget [주소] 주소를 붙여넣기 해주면 저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해온다 ​ 다운을 다 받으면.. 2023. 11. 2.
리눅스 find 명령어 atime,ctime,mtime 차이점 find #>find [path] [option] [option] ​ -print ( default ) : 표준 출력으로 검색된 파일명을 출력한다. -type [type] d 디렉터리 파일 f 일반 파일 b,c 장치 파일 l 소프트 링크 파일 ​ -exec [command] \; : 찾은 각 파일에 대해 지정된 명령을 실행한다. -delete ​ -name [name] : 지정된 이름의 파일을 찾는다 -size [num] : 지정된 크기의 파일을 찾는다 +[num] -[num] ​ -user [user_name] : user 소유의 파일을 찾는다 -group [group_name] : group 소유의 파일을 찾는다 -nouser 소유자 X -nogroup 소유그룹 X ​ -perm [perm] : 해당.. 2023. 11. 2.
리눅스 파일시스템 구조, i-node, 링크 파일(ln, ls -i) [리눅스의 파일시스템 구조] 부트 블록 | 슈퍼 블록 | I-Node List | 데이터 블록 ​ - 부트 블록 :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리는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 들어있는 영역 - 슈퍼 블록 :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 - I-Node List : inode를 모아놓은 영역 - 데이터 블록 : data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 ​ ​ ​ i-node 리눅스의 파일, 디렉터리들은 생성 시에 반드시 i-node라는 값을 가진다.​ 이런 식으로 파일, 디렉터리들은 생성 후에 i-node라는 값을 가지고 그 값은 데이터 블록을 지정하는 번호로 사용된다 (포인터와 같은 개념) ​ 우선 /test라는 디렉터리에 test1, test2, test3 파일을 생성해 보자 그리고 #> ls -li 명령.. 2023.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