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27

리눅스 서비스 제어, 데몬 프로세스, 런레벨(systemctl, service, runlevel) run level 리눅스 시스템 관리의 용이함을 위하여 서비스의 실행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것을 의미한다. 리눅스마다 다르지만, 0(정지), 1(싱글모드),6(재시작)은 일치한다.낮은 레벨일수록 시스템 시작시 불러오는 드라이버나 데몬수가 적다. runlevel은 높아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며 부팅되면 0부터 시작한다. reboot명령어를 실행하면 runlevel이 6이 된다. ​ ​ 6.x 버전까지는 /etc/inittab 파일에서 변경 ​ 0 - halt == 종료 == 기본값으로 사용하지 않음 ​ 1 - single user mode == 단일 사용자, 윈도우 안전 모드 == 관리자 비밀번호 변경, run level 변경 등.. ​ 2 - multi user mode == 다중사용자, 네트워크 연결.. 2023. 11. 2.
리눅스 그래픽 환경으로 바꾸기[CentOS] CLI -> GUI (Gnome desktop, run level) @런레벨 (Runlevel) 이란? 리눅스 시스템에서 런레벨(runlevel)은 특정 시스템 상태 또는 동작 모드를 숫자로 정의합니다. 각 런레벨은 특정 서비스와 프로세스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제어합니다. 리눅스 시스템의 기본적인 런레벨은 일반적으로 0부터 6까지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Runlevel 0 시스템 종료 shuts down the system Runlevel 1 복구 모드 single-user mode Runlevel 2 네트워크 연결 없는 다중 사용자 모드 multi-user mode without networking Runlevel 3 기본 다중 사용자 모드 (기본 CLI 환경) multi-user mode with networking.. 2023. 11. 2.
리눅스 파일 압축, 압축 풀기, 아카이브 생성, 해제 (tar, gzip, bzip2, xz) 아카이브란 데이터를 모아서 묶는 것. ex) 여러 가지 책 들을 손에 따로 들고 다니는 것이 아닌 가방에 넣어서 쉽게 들고 다니는 것 ​ 압축은 데이터를 눌러서 만드는 것. ex) 풍선 -> 풍선을 불기 전과 후는 관리하기도 다르고 무게도 다름 (무게도 달랐던가..?) ​ ★보통 아카이브로 묶은 후에 압축★ ★tar 사용 후 > gzip,bzip2,xz 압축★ ​ 리눅스에서는 보통 3가지 압축 소프트웨어가 있다. ​ 1.gzip (기본 압축 소프트웨어) #>gzip [option] [path] -[num] 압축 레벨 지정 ( 1( 압축 속도↑, 압축률↓ ) ~ 9(압축 속도↓, 압축률↑) ) -d 압축 해제 (.gz) #>gunzip [path] gzip의 압축 해제 명령어 #> gzip -d 와 같은 .. 2023. 11. 2.
리눅스 기초 파티션,마운트,파일시스템,포맷(fdisk,df,mount,umount,mkfs,file) 먼저 파티션의 뜻을 알아보자 "partition" 칸막이, 분할 등의 뜻으로 쓰인다 ​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파티션도 같은 의미로 쓰인다 물리적인 디스크를 논리적 공간을 나누어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 ​ 예를 들어 이런 식의 저장 공간이 있으면 C: 드라이브에는 운영체제가 움직이기 위한 저장 공간이고 D: 드라이브에는 여러 가지 다운로드한 것들을 저장하는 공간이고 E: 드라이브에는 서류 같은 것들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다 ​ 이런 식으로 공간을 나누어서 효율적으로 저장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있는 게 "파티션"이다. ​ 하드 디스크에는 여러 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우리가 알기 쉽게 크고 간단하게 두 가지의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 ​ ​ ​ 1. 일반 하드디스크 ​ 일반적인 .. 2023.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