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27 리눅스 사용자 환경설정 파일, 실행파일(GID, UID, echo, passwd) 오늘은 사용자 환경설정 파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전에 echo 명령어부터 [command] echo #>echo [option] [args] -n : 마지막에 따라오는 개행 문자(newline) 문자를 출력하지 않는다. -e : 문자열에서 역슬래시(\)와 조합되는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sequence)를 인용부호(“)로 묶어 문자를 인식하도록 한다. echo 명령어는 echo 메아리, 말하다?라는 뜻입니다 그냥 터미널에서 사용하게 되면 이렇게 건방지게 제 말을 따라 합니다 이 자식이.. 사실 echo 명령어는 여러 가지 환경 변수들의 설정을 확인하는데 많이 사용됩니다. 이런 식으로 말이죠 환경 변수들을 사용할 때는 앞에 "$"를 붙여줘야 합니다 $가 붙으면 변수로 생각하.. 2023. 11. 2. 리눅스 지역변수,전역변수,알리아스 (Alias) 리눅스에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이 변수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 변수 설정은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굉장히 편안한 기능들이라고 할 수 있어요 말은 그만하고 바로 알아봅시다. 변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셧던 그 변수가 맞습니다 어떠한 변수 명의 값을 대입해서 우리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죠 [shell] 환경 변수 지역 환경 변수 전역 환경 변수 리눅스의 변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변수를 등록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지역 환경 변수 (변수를 등록할 시 변수를 생성한 해당 계정의 홈 디렉터리에 숨겨진 bashrc라는 파일에 저장) -> /.bashrc 1) 지역 환경 변수 확인: #> set (지역, 전역 변수 확인) 생성: #> [변수 이.. 2023. 11. 2. 리눅스 권한 (umask, chmod), symbolic (심볼릭링크x) 리눅스의 권한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리눅스에서 권한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꼭 공부하셔야 하는 것 중에 하나입니다 엄청 쉽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우리가 ls -l / 을 하면 / 경로에 있는 파일들을 전부 보여줍니다 여기서 권한이라는 것은 저것들입니다. 저것들을 한번 자세히 살펴봅시다. drwxr-xr-x. 2 root root 23 9월 30 22:13 test - ------------ - ------ ---- -- --------------- ---- 1) 2) 3) 4) 5) 6) 7) 8) 1) 파일의 타입 - 일반 파일 d 디렉터리 파일 b, c 장치 파일 l 링크 파일 2) 파일의 권한 rw- / r-- / r-- ① ② ③ ① 파일 소유자의 권한 ② .. 2023. 11. 2. 리눅스 기본 명령어(grep, sort, uniq, cut, awk, 정규 표현식, 다중 명령어, shell 쿼터) 다른 사람들이 설명을 너무 어렵게 해놔서 좀 쉽게 쉽게 하려고 합니다 (구라 입니다 다 쓰고 직접 읽어보니 어렵네요) /test 디렉터리가 있다면 우선 rm -rf 해서 /test 디렉터리를 지워주고 다시 만들어주자 touch 명령어로 touchtest라는 빈 파일도 만들어주자 # > grep 파일 내용에서 문자열( [pattern] )을 검색 #>grep [option] [pattern] [path] -v [pattern]이 존재하지 않는 라인만 출력 -i 대소문자 구별 X -n 줄 번호를 같이 출력 -c 라인 개수 출력 간단하게 말해서 grep 란 "검색"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내가 특정 파일의 특정 부분만 찾고 싶다고 할 때 그 부분만 나타내 주는 게 grep 명령어이다 touchte.. 2023. 11. 2. 이전 1 2 3 4 5 6 7 다음